제 2절 데이터 모델링 기법 이해
1. 데이터 모델 목적
2. 개체-관계 모델 정의
개체-관계 모델 목적
•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뷰들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
단일화된 설계 안을 만들 수 있다.
• 서로 다른 뷰를 충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처리와 제약 조건 등의 요구 사항을
정의하기 위해서다.
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 개체관계 다이어그램
: 최종 사용자의 관점에서 데이터 구조를 그림 형태로 묘사하기 위해 개체, 관계, 속성이라는
세 개의 기본 요소를 사용하며, 엔티티와 이들간의 관계를 미리 약속된 요형을 사용하여
알기 쉽고 일목요연하게 그림으로 표시한 것
3. 개체-관계 모델 구성요소
논리 데이터 모델링에서 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로 넘어오면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
• Super/Sub 관계의 엔티티를 몇 개의 테이블로 만들 것인가
• 배타적(Arc)관계 엔티티의 외부키를 몇 개로 할 것인가
• 성능 향상을 위해 테이블을 추가해야 할 것인가 혹은 통합해야 할 것인가
• 통계 작업을 위해 합계(Summary) 테이블 같은 임시성 테이블을 몇 개로 할 것이며,
유일키를 무엇으로 할 것인가
• 테이블의 컬럼을 다른 테이블에 중복할 것인가, 중복한다면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관련되어
있는가, 인덱스의 설정, 스냅샷(Snapshot) 또는 뷰(View) 등의 객체가 필요한가
• 분산 환경에서 테이블을 중복할 것인가, 중앙에 필요한 테이블을 따로 가져갈 것인가
• 데이터가 분산 환경에서 이동 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
가. 엔티티(Entity)
엔티티는 업무 활동상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대상으로서 그 대상들 간에
동절성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는 개체 집합이나 그들이 행하는 행위의 집합으로 정의
엔티티를 정의할 때는 어떤 대상이 그 엔티티에 속하는지 연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
있도록 정의해야 한다.
엔티티 인스턴스 : 엔티티는 동질성을 갖는 개별 개체나 행위를 지칭
엔티티 타입 : 엔티티들의 집합(엔티티라고도 함)
동질성을 갖는다는 의미 : 어떤 한 개체를 설명하거나 묘사할 수 있는 특성들에 대해
다른 여러 개체들이 동일한 특성들로 설명 또는 묘사 될 수 있음을 말함.
이런 개체들의 집합을 엔티티 타입
예) 학생이라는 개체 집합은 학번, 이름, 이수학점, 등록일자, 생일, 주소, 전화번호, 전공
등을 가진다면?
엔티티타입(엔티티) : 학생
엔티티 인스턴스 : 어떤 특정한 학번, 이름, 학과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 홍길동 학생
속성 : 학번, 이름, 이수학점, 등록일자, 생일, 주소, 전화번호, 전공
'IT > DAP 자격증 (취득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P 자격증 실기시험 노하우 (2) | 2019.12.01 |
---|